N.BeAI 이야기
home
철학과 가치
home

사업 우선순위 정리하기

지안, 솔직히 너무 막막해. 서비스 개발, 마케팅, 투자자 미팅, 고객 피드백까지 해야 할 일이 너무 많고, 뭐부터 먼저 해야 할지 도저히 감이 안 잡혀.
매일 바쁘기만 한데 뭔가 제대로 가고 있는지도 모르겠어.

지안

지금 말씀을 정리해보면,
서비스 개발
마케팅
투자자 미팅
고객 피드백등 여러 가지가 한꺼번에 쏟아지고 있네요.
이럴 땐 우선
1.
지금 당장 안 하면 전체가 멈추는 일
2.
해두면 한동안 덜 신경 써도 되는 일
3.
조금 미뤄도 되는 일이렇게 세 묶음으로 나눠보는 게 도움이 돼요.
혹시, 당장 멈추면 진짜 큰일 나는 게 어떤 건지 떠오르는 게 있나요?
음… 사실 다 중요한 것 같은데,
당장 뭘 안 하면 큰일 나는지는 잘 모르겠어.
그냥 다 쏟아져서 머리가 멍해져.

지안

지금은 정리보다 판단이 필요한 상태네요.
현재 위치:서비스 개발, 마케팅, 투자 미팅, 고객 피드백이 동시에 압박
막히는 지점:우선순위 감각 마비, 결정 못 내리고 멍해짐
지금 가능한 선택:
1.
오늘 마감이나 약속된 일정부터 체크
2.
서비스 개발에서 ‘내일 바로 써야 할 기능’이 있는지 확인
3.
투자자 미팅 준비가 내일/이번 주 일정에 있는지 점검
가장 쉬운 실행은
오늘 안에 꼭 끝내야 하는 마감이나 외부 약속부터 캘린더로 정리하는 거예요.
그 다음, 개발과 마케팅, 고객 피드백 중 “내일 아침까지 필요한 것”을 체크해보면
마음의 부담이 조금 줄 거예요.
그럼, 투자자 미팅이 이번 주 금요일에 있고
서비스 개발은 아직 데모 버전이 덜 나왔어.
어떻게 우선순위 잡으면 좋을까?

지안

지금 상황에서는
투자자 미팅과 서비스 데모 완성이 가장 중요한 고리예요.
아주 구체적으로 이렇게 움직여볼 수 있어요.

【실행 흐름 구체 정리】

오늘~내일: 투자자 미팅 준비

발표 자료 초안 만들기:
회사 비전·목표, 현재 진행 현황, 시장 분석,
투자받은 뒤의 성장 계획을 슬라이드에 간단히 정리하세요.
핵심 지표 준비:
사용자 수·트래픽·피드백 등
지금까지의 수치와 앞으로의 목표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표로 정리
예상 질문 리스트업:
투자자가 물을 만한 질문을 미리 적고
답변도 간단히 준비해두세요.

데모 버전 완성 (투자자 관점에서 최소 기능)

필수 기능 3가지만 뽑기:
예) 회원가입, 기본 서비스 체험, 피드백 남기기
동작 영상 짧게 찍어두기:
현장 시연 중 오류가 날 수 있으니,
화면 녹화로 ‘서비스가 실제로 돌아가는 모습’을 미리 준비
문서로 요약:
데모 버전에서 “이 부분이 핵심이다” 한 줄 설명 추가

마케팅·고객 피드백 (이번 주 내로 최소한만)

SNS/카페에 한 줄 소식 올리기:
“서비스 개발 중, 곧 새로운 기능 공개!” 식으로
짧게라도 소통을 이어가세요.
고객 피드백은 메모로만 정리:
이번 주는 접수만 하고,
데모와 미팅 이후에 본격 반영 계획 세우기

【오늘부터 바로 실행하는 순서】

1.
오늘 저녁:
투자자 발표자료 초안,
데모 버전에서 보여줄 핵심 기능 체크
2.
내일 오전:
데모 영상 1분 내로 촬영,
예상 질문·답변 정리
3.
틈틈이:
SNS/카페에 짧은 소식 업로드,
고객 피드백은 빠르게 메모만
이렇게 일정별·업무별로 쪼개서“오늘, 내일, 이번 주” 계획을 세우면머릿속 혼란이 훨씬 정돈될 거예요.가장 급한 것부터 차근차근 해보세요!

다른 모델 보러가기